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타트업 tip
- 스타트업
- 스타트업 꿀팁
- 스타트업 참고사이트
- 스티븐 블랭크
- 스타트업 소개
- StartUp
- A/B Test
- 유효한 학습
- 스타트업랩
- 스타트업 MVP
- 만들기 측정 학습 순환모델
- 글로벌창업센터
- 스타트업 생존
- 마케터 프로그램
- Korean Tour Guide
- MVP모델
- 스타트업 테스트
- 린 스타트업
- 린스타트업
- 린 스타트업 바이블
- 스타트업 오픈
- 스타트업이란?
- 린스타트업이란?
- 스타트업 Top
- 에릭 리스
- 마케터 효율
- 스타트업 사이트
- Lean Startup
- 마케터 업무
- Today
- 3
- Total
- 3,321
목록2018/11 (8)
[Build Up!]
스타트업, 정말 많다. 첫 포스팅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정말 많은 스타트업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정말 많이 사라지기도 한다. 스타일 쉐어, 미미박스, 배달의 민족 ... 이제는 스타트업이라기 보다는 성공한 기업으로 스타트업의 신화를 쓰고 있는 기업들도 많다. 그런 기업들에 대한 포스팅을 해도 할 말이 정말 많지만 스타트업을 소개하는 첫 글에는 나에게 조금 특별한 이야기를 써보고자 한다. ..
스타트업에서 서비스를 다 만들었다면 이제 제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해야 한다. 이때 다양한 테스트 기기가 필요하다. 특히 앱의 경우에는 화면 크기, OS 버전, 운영체제 종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검증해봐야 한다. 그러나 초기 스타트업이 테스트베드를 갖추는 일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런데 고맙게도 무료로 테스트베드부터 제품 촬영, 사운드 파일 등의 에셋 제공, 오프라인 행사 공간 대여까지 지원해주는 곳..
오늘은 A/B 테스트라는 것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자는 에릭 리스의 저서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에서 이 개념을 처음 접했지만 비단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 국한되는 프로세스가 아니라 그로스 해킹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쓰이는 방법론이기도 하다. 쉽게 말해 A/B 테스트란, ‘A와 B라는 방식을 모두 시험해보고 좋은 결과가 나오는 쪽을 채택하는 방법’이다. ***그로스 해킹 ..
오늘의 포스팅은 이 시대를 살아가며 이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자신 한몸 불사르는 마케터들에게 바치는 글입니다... ; 업무를 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고 도움이 될만한 사이트들을 조금이나마 추려보았습니다.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키워드 검색 빈도 조회 (네이버 광고 시스템, 구글 애드워즈)네이버 광고 시스템의 키워드 도구와 구글 애드워즈의 키워드 플래너에서 사람들이 특정 단어를 얼마나 많이 검색하는지 ..
스타트업랩startuplab.co.kr은 초기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단체(엑셀러레이터)인 프라이머primer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이다. *엑셀러레이터란? : 최근에는 스타트업 기업을 발굴하여 초기단계부터 성장을 돕는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엑셀러레이터, 창업기획사라는 새로운 영역이 생겨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초기단계의 좋은 스타트업을 발굴하고,이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여 스케일-업(Scale-up,)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비즈니..
오늘은 MVP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릭 리스는 스티브 블랭크의 고객개발모델을 린(lean)하게 실행하기 위해 그 핵심으로 ‘만들기-측정-학습 순환 모델(Build, Measure, Learn feedback-loop)’을 제시했다. 어떠한 사업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것을 완벽히 만들어서 시장에 내놓는 게 아니라, 일단 조금이라도 만들어서 고객에게 보여주고, 고객 반응을 측정하여 배우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소규모..
앞서 린스타트업에 대해 다룬 포스팅에서 린스타트업은 실험과 검증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라인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오늘은 린스타트업에서 소개하는 가이드라인 중 기본 뼈대라고 할 수 있는 만들기-측정-학습 순환모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Lean Startup>의 저자 에릭 리스는 말한다. “린스타트업 방법은 수많은 가정을 바탕으로 복잡한 계획을 만들고 그것을 실천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
오늘은 ‘린(Lean) 스타트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린 스타트업은 이제는 스타트업계에서 널리 통용되는 이론 중 하나로 그 범위가 한 포스팅에 다루기엔 광대하고 중요한 이슈가 많기 때문에 여럿에 나누어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린 스타트업에서는 스타트업을 ‘가설로 만들어진 비즈니스 모델을 실행하면서 이것이 수익을 낼 수 있는지 검증해 나가는 임시조직’이라 규정하며, 그러한 가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다 신속하게, 보다 효과..